제례(제사) 모시는 순서

제례(제사) 모시는 순서

0 8929 0

▣ 제사(제례) 모시는 순서

◑ 기제사(忌祭祀)의 절차

제일 먼저 설위(設位)를 하는데 제상(祭床) 뒤에 병풍(屛風)을 치고 제상에 제물(祭物)을 진설(陳設)하고 지방(紙榜, 영위(靈位)) 또는 사진을 모신다.   진설과 지방 쓰는 법은 뒤에 설명함.

1. 영신(迎神)
  • 조상의 혼을 맞아들임.  진설 후, 제주(祭主)는 대문밖에 나가 혼백을 모시고 들어온다.
2. 강신(降神)
  • 혼의 강림(降臨)을 청함.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가 무릎을 꿇고 앉아 향로에 향을 피운다.
  • 재배한 후, 다시 꿇어앉는다.
  • 집사자(執事者)가 강신술잔을 내려서 제주에게 주고 술을 조금 따른다.
  • 제주는 두손으로 잔을 들어 향불 위에서 3번 돌린 다음 모사기(茅沙器)에 조금씩 3번 붓는다.
  • 빈 잔을 집사에게 돌려주고 일어나서 제주만 두 번 절한다.
  • 향으로써 하늘의 혼(魂)을 부르고, 모사기에 술을 부음으로써 땅의 백(魄)을 부른다.
  • 따라서 지방에 따라서 1.영신의 절차가 생략되기도 한다.
3. 참신(參神)
  • 제주와 함께 참사자 일동이 모두 재배(再拜)한다.  옛날에는 절을 하는 횟수가 남자는 재배(再拜), 여자는 4배(拜)로 하였다.  이는 남녀차별의 뜻이 아니라 음양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.
  • 산 사람(生者)과 남자는 양의 도를 따르고, 죽은 사람과 여자는 음의 도를 따르기 때문에 산 사람에게는 한 번(홀수는 양) 절하고, 죽은 사람에게는 두 번(짝수는 음) 절하나 여자는 그 두 배(倍)를 한다.
  • 그러나 현대에서는 음양 이론을 따르는 것이 만사가 아니니 남자와 마찬가지로 재배만으로도 무방할 것이다.
4. 초헌(初獻)
  • 제주가 제상 앞에 무릎을 꿇고 집사자가 술잔을 내려주면 다른 집사자가 술병을 들고 술을 가득 부어 준다.
  • 집사자는 술잔을 받아 신위 앞에 올려놓는다.
  • 합설(合設)인 경우 고위(考位) 앞에 먼저 올리고, 다음에 비위(妣位) 앞에 올린다.
5. 독축(讀祝)
  • 초헌이 끝나면 참사자 모두 꿇어앉는다.
  • 제주가 꿇어 앉은 왼쪽에서 축관이 축을 천천히 엄숙하게 읽는다.
  • 독축이 끝나면 제주가 일어나서 재배(再拜)한다.
  • 집사는 잔에 담긴 술을 퇴주그릇에 붓고 비워 놓는다.
  • ※ 참고: 축관이 따로 없으면 제주가 직접 읽어도 무방하다. 또한 옛날에는 독축 후 부모의 기제사에는 반드시 곡(哭)을 하였으나 오늘날 일반적으로 생략하고 있다. 다만 이러한 예법이 있다는 사실은 알고 있어야 한다.
6. 아헌(亞獻)
  • 초헌 때와 같이 하되 제주의 부인(夫人)이 하고 부인이 못할 때에는 최근친자가 한다.
  • 부인(夫人)은 재배 또는 사배(四拜)를 한다.
  • 우리 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여자가 헌작(獻酌)하는 풍습이 드물었으므로 이는 주로 형제들이 행하였다.
  • ※ 참고: 그러나 "제사는 부부가 함께 한다는 부부공제(夫婦共祭)"라는 정신에서 [가례]류의 예법서에서는 주부가 버금잔(아헌)을 드려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.
7. 종헌(終獻)
  • 친족 중에서 3번째 술잔을 드리는 의식이다.
  • 아헌(亞獻)때와 같이 하지만 술은 7부 정도 따른다.
  • 종헌 후에는 술을 퇴주그릇에 붓지 않고 그대로 둔다.
8. 첨작(添酌)
  • 종헌 후 제주가 신위 앞에 다시 꿇어앉는다.
  • 집사가 종헌 때 덜 채운 술잔에 세 번 첨작(잔에 더하여 따름)하여 가득 채운다.
  • 이는 술을 더 권하는 의식으로 첨잔(添盞)이라고도 한다.
9. 삽시(揷匙)정저(正箸)
  • 첨작이 끝나면 주부가 메(밥) 그릇 뚜껑을 열고 그 위에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바르게 고쳐 놓는다.
  • 숟가락의 안쪽이 동쪽을 향하게 하며, 젓가락은 어적이나 육적 위에 가지런 하게 놓는다.
  • 제주와 주부는 재배한 후 제자리로 돌아간다.
  • 첨작과 삽시정저의 두 절차를 흔히 유식(侑食)이라 하는데, 이는 '진지를 권하는 의식'이다.
  • 유식은 첨잔 하고 수저를 올린 후 재배하는 단순한 의식에 불과하다.
10. 합문(闔門)
  • 참사자(參祀者) 모두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9~10분 가량 기다린다.
  • 단칸방의 경우는 제자리에 엎드리거나 남자는 동편에 서서 서쪽을 향하고, 주부이하 여자들은 서편에 서서 동으로 향하여 엎드려 몇 분이 지난 뒤 일어난다.
  • 영위(靈位)가 조용히 식사하시기를 기다리는 의식으로 보통 9식경(밥 9술 먹는 시간) 정도 기다린다.
  • 제상 앞에 병풍을 가리기도 한다.
11. 계문(啓門)
  • 축관(祝官)이 기침 소리 3번으로 신호하면 닫았던 문을 연다.
  • 참사자 모두가 들어간다.
12. 헌다(獻茶)
  • 국그릇(갱)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 뒤 메(밥) 세 술을 조금씩 떠 물에 말고 저를 고른다.
  • 참사자(參祀者) 전원은 머리를 숙이고 있다가 고개를 든다.  이는 첨작 때와 같이 식사를 조금 더 권하는 의식이다.
13. 철시복반(撤匙覆飯)
  • 숭늉 그릇의 숟가락을 거두어 세 번 고른 다음 제자리에 놓는다.
  • 메(밥)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.  이 때 완전히 덮지 않고 동쪽으로 약간 열리게 한다.
14. 사신(辭神)
  • 신위를 전송하는 절차다.
  • 참사자(參祀者) 전원은 재배한다.
  • 지방(紙榜)과 축문(祝文)을 불사른다.
  • 신주는 사당으로 다시 모신다.
  • 제사 절차는 이로써 모두 끝난다.
15. 철상(撤床)
  • 제상을 치운다.
16. 음복(飮福)
  • 참사자 전원이 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. 음복을 하면 조상들의 복을 받는다는 속신(俗信)이 있다.

0 Comments
제목
등록된 이벤트가 없습니다.
063-633-5891
010-2608-5891
월 ~ 일: 24시간 상담 가능

무통장 입금 안내

국민 507-21-0417-553
농협 513014-52-098747
예금주 강신석
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